라즈베리파이 OS 설치 과정
라즈베리파이 OS의 필요라즈베리파이(Raspberry Pi)는 소형 싱글 보드 컴퓨터(SBC)로, 다양한 프로젝트와 교육 목적으로 널리 사용된다. 라즈베리파이를 사용하려면 운영체제(OS)를 먼저 설치해야 하
jsk-embedded.tistory.com
위 글의 과정을 우선 하고 이글을 보길 바란다
준비물
5V2A이상의 충전기(C타입)->pi 4 기준
마이크로 HDMI 케이블 또는 젠더
모니터
마우스와 키보드
아래 사진과 같이 연결 하고 시작해야 한다
진행 과정
처음 Micro SD카드를 연결 하고 전원을 연결하면 여러번의 화면의 깜빡임과 재부팅을 거치게된다
위와 같은 화면이 나왔다가 멈췄다가를 반복하고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면 정상적으로 작동되는것이다
앞선 설정에 문제가 없더라면 인터넷 연결까지 모두 작동할것이다
그럼 블루투스 표시 옆 업데이트 버튼을 눌러 기본 업데이트를 진행한다
이후 아래 코드를 차례로 입력하여 전체 업데이트 과정을 진행한다
sudo apt update
sudo apt upgrade
reboot
마지막 명령어인 reboot는 재시작이다 다시 부팅이 되면 세팅과정은 마무리가 된다
다만 매번 화면과 키보드 마우스를 연결하는것이 번거롭기때문에 나는 아래 방법을 추천한다
최신 OS에서만 베타로 지원하고 있는 raspberry pi connect이다 라즈베리파이가 인터넷이 연결된 상황이라면 어디서든 접속 가능하다. 기존 VNC나 SSH는 같은 인터넷환경이거나 외부망 설정이 필요했다면 해당 기능은 필요 없다
설정과정은 아래 블로그를 보고 따라하면 된다
https://blog.naver.com/no1_devicemart/223658993510
라즈베리파이 원격 접속! 어떤 네트워크에서든 접속 가능 (Raspberry Pi Connect)
안녕하세요:) 디바이스마트 입니다. 이벤어 라즈베리파이에서 Connect(커넥트) 기능이 새롭게 추가되었다...
blog.naver.com
위 블로그의 과정을 끝내고 아래 사이트에 다시 들어와서 PC에서 로그인 하면 사용 가능하다
또한 모바일 환경에서도 홈페이지에서 접속 하면 제어 가능하다
https://www.raspberrypi.com/software/connect/
Raspberry Pi Connect Beta - Access your Raspberry Pi from anywhere – Raspberry Pi
Raspberry Pi Connect is a secure remote access solution for Raspberry Pi OS, allowing you to connect to your desktop and command line directly from any browser.
www.raspberrypi.com
이렇게 설정한것을 볼수 있는데 scren sharing는 기존 VNC 처럼 화면을 공유 하여 제어하는것이고
Remote Shell은 기존 SSH 처럼 터미널 화면만을 제공하여 명령어로만 제어가 가능하다
여기까지 했다면 모든 기능들을 사용할 준비가 완료 되었다 각자 원하는것들 모두 다 이루길 바라며 글을 마치겠다